우송교양대학에서는 위에서 밝힌 교육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교육과정을 운영한다. 본교에서 2018년에 정한 ‘핵심역량’ (7-core)의 함양에 초점을 맞추어 기초 핵심과목과 심화 중점 과목으로 편성한다.
교육영역 | 기초 핵심과목(학점) | 필수이수학점 | 심화 중점과목 | 필수이수학점 | |
---|---|---|---|---|---|
①도덕성 인성 함양 | <비전탐색> (sol start-up+ 솔인성교육) |
2 | 예체능 체험과목 | ||
②의사소통교육 | 국어문해 | 대학 글쓰기/과학 글쓰기/ 스피치·토론 |
2 | ||
국제어문해 | 외국어 기초: 영어/일어/중어/ 베트남어/마인어 중 택1 |
4 | |||
정보문해 | SW기초 | 3 | SW심화 | 3 | |
③글로컬마인드 함양 | 외국어 활용: 영어/일어/중어/ 베트남어/마인어 중 택1 |
4 | ⑶국제 다문화 관련 과목 | ||
④분석적 과학적 사고력 배양 | 기초과학 분야 과목, 과학·기술 과목 |
9 | ⑷데이터 사이언스, 인공지능 관련 과목 | ||
⑤사회 이해 및 관계역량 배양 | 정치·경제 과목 | ⑸비즈니스 경제학 관련 과목 | |||
⑥인문적 심미적 소양 함양 | 인문·예술 과목 | ||||
⑦창의적 문제해결력 배양 | 창의적 사고교육 과목: | 2 | |||
학점 계 (37) | 영역별 필수 29 | 자유선택 8 |
(A) 기초 핵심과목
역량 영역 | 기초 핵심과목(필수) | 기초 핵심과목(선택) |
---|---|---|
도덕성 및 인성 | 비젼탐색 | 승마, 수영, 골프, 스키, 사회봉사, 글로벌매너와커뮤니케이션, |
의사소통 능력 | 대학글쓰기, 과학적 글쓰기, 스피치·토론 | 소통을위한발표와토론 |
영어, 기초일본어, 기초중국어 | ||
글로벌 마인드 | 중-고급영어, Global Leadership. 기초러시아어, 기초마인어, 기초베트남어 |
다문화이해와체험, 현대사화와글로벌시각 |
분석적 과학적 사고력 | 자연탐구의기본개념, 물리적세계의 근본원리, 생명세계의근본원리, 생명공학의현황과장래, 인공지능기술의현황과장래, 4차산업혁명과빅데이터, 4차산업혁명과사물인터넷 |
인간과자연환경, 미래의에너지, 소프트파워와창조 |
사회 이해 능력 | 정치질서와국가발전, 경제탐구의기본개념, 산업혁명의역사와경제발전, 한국의경제발전과미래, 사회구조와사회변동, 사회변화와인간심리, 기술발전과사회변화, 현대문화의이해, 소비문화와시장경제 |
미디어의이해, 복지국가의 이해, 국가안보의 이론과실제, 북한바로알기, 군사학개론, 조직리더쉽, 인류사와전쟁, 대학과지역사회, 시민 생활과 법 |
인문적 심미적 소양 | 동양고전 이해, 서양고전 이해, 세계현대사, 동아시아근현대사, 한국근현대사, 한국문화의이해, 한국문학의이해, 디지털인문학. 음악의 이해, 미술의이해, 건축의이해, 역사의흐름과사상의변화, 응용윤리학 |
한자와한문입문, 예술의이해, 음악을 통한 역사의 이해, 서양음악의 이해, 문학과영화예술, 성격과 인간이해, 문화와 심리, 한국의 문예지리, 21세기 휴머니즘론, 대중서사문학, K-POP과 글로벌문화 |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 | 창의적비판적사고, 창의적앙트르프레너쉽 | 창의적문제해결 |
※ 교과목의 개발, 선정, 배치는 앞으로도 보정될 것임
※ 필수/선택의 구별은 2019 이전 학번의 재학생들에게만 적용됨
(B) 심화 중점 과목
역량 영역 | 세부영역 | 과목명 |
---|---|---|
글로벌 마인드 | 글로벌 마인드 | 글로벌산업이해, 글로벌 산업과 직업 세계의 변화, 글로벌 마인드, 글로벌 이슈와 그에 대한 논란, 문화와 다양성, 글로컬 산업의 수요, 특수 전문 영어, 한류와 영화이해 |
분석적 과학적 사고력 | 디지털 기술 이해 | 현대의새로운기술, 기술과 나의 삶, 한국 및 세계 각국의 기술 정책, 4차산업혁명입문, 4차산업혁명의 현실과 전망, 디지털기술의 문화적파장, 디지털방식의 디자인기초, 생활속 디자인기술의 이해 |
데이터 과학 | 데이터사이언스 이해, 빅데이터 입문, 데이터 분석의 과학적 기초, 데이터 영상화, 데이터 분석과 비즈니스, 빅데이터 활용의 사회 경제적 파장, 시장의 확장과 빅데이터의 역활 | |
사회 이해 능력 및 관계 역량 배양 | 경영 경제학 | 협력방식의 진화-팀워크, 기획의 전제와 목표, 변화에 대한 응전, 업무와 성취 동기, 팀워크의 구현, 비즈니스경제학, 팀워크와 의사소통방법 |
시장 경제학 | 소비자 이해, 상품소비와 의사소통, 디지털 브랜드의 문화적 파장, 디지털 소비자 경험, 디지털 방식의 상품 구성, 경제발전과 시장의 확장, 소비자 행동 및 심리 이해 | |
의사소통 교육 | SW 기초 | SW 심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