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메인이미지
top버튼

자유게시판

Home > 커뮤니티 > 자유게시판
VIEW

경주 최부잣집, 말로만 듣던 ‘노블레스 오블리주’ 문서 공개

작성자
박두규
작성일
2013.06.28
조회수
4,214
첨부파일
-
[단독]경주 최부잣집, 말로만 듣던 ‘노블레스 오블리주’ 문서 공개
동아일보신문에 게재되었으며 A2면의 TOP기사입니다.A2신문에 게재되었으며 A2면의 TOP기사입니다.| 기사입력 2013-03-07 03:18 | 최종수정 2013-03-07 08:40 기사원문
 
 

“노비가 가련해 빚 탕감한다”… 가문서 빈민구제 기구 운영

[동아일보]

“이 몸이 이 고장에 흘러 들어와 땅 없이 빌어먹다가 서원에서 살게 해주어 서원의 종이 되었습니다.… 서원의 별고(別庫·별도의 창고)에서 장리(長利·통상 연 5할의 이자) 벼 1석을 받아먹고 원금 1석은 그해 서원에 납부했으나 나머지 7두 5승은 아직 납부하지 못했습니다.… 이러한 사유를 헤아리신 뒤 빚을 깎아주시기 바랍니다.”

1710년 경주 용산서원에서 일하던 노비가 원장에게 올린 청원서의 일부다. 용산서원은 경주 최씨 정무공 최진립 종가가 중시조인 최진립의 위패를 모셔놓고 직접 운영한 서원이다. 원장은 이 청원에 “형세가 대단히 가련하므로 빚을 탕감해준다”고 결정했다. 이 서원은 일종의 조사위원회인 ‘사핵소(査핵所)’를 구성해 채무자가 빚을 갚지 못하는 사유가 타당하면 빚을 탕감해줬다. 국가기관이 아닌 서원에서 제도적으로 빈민 구제책을 실시한 셈이다.

경주 최부잣집의 큰집인 경주 최씨 정무공 종가에서 조선 중기부터 사회지도층의 도덕적 책무인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실천한 진면목을 보여주는 고문헌이 무더기로 발굴됐다. 최부잣집은 ‘만석 이상의 재산은 쌓지 마라’ ‘사방 백리 안에 굶어죽는 사람이 없게 하라’ 같은 가훈을 계승해온 대표적인 가문이다.

한국학중앙연구원은 최근 정무공 종가의 고문헌 3000여 점을 기탁 받아 분석한 결과 △노비나 소작인의 빚 탕감 청원에 답하는 문서 △병자호란에서 전사한 충노(忠奴)를 표창해 달라는 요청서 △노비 반란을 겪은 뒤 타협책을 찾는 과정을 보여주는 문서 등 한국의 노블레스 오블리주 발전사 연구에 귀중한 고문헌 수십 점을 찾았다. 한중연은 4월 27일 용산서원에서 학술대회를 열어 이 같은 연구결과를 발표한다. 이날 서원 인근에 기념관 ‘충의관’도 열어 주요 유물 60여 점을 상설 전시한다.

○ 노비에 땅 줘 생계 돕고 충노에 제사도

병자호란이 터지자 최진립은 인조가 포위된 남한산성으로 향하다 전사했다. 곁에 있던 두 종은 시신을 안고 울면서 적이 칼로 내리쳐도 피하지 않고 싸우다 목숨을 잃었다. 이 종가는 지금도 음력 12월 27일 최진립의 기일(忌日)이면 노비 2명에게도 제사를 지낸다. 신분제도가 엄격했던 조선시대에 노비에게 제사를 지낸 것은 전무후무한 전통이다.

경주의 유림 34명이 경상감사에게 표창을 요청한 상서(上書·1812년)는 구전으로만 전하던 가풍의 기원을 확인해준다. “두 종이 만약 목숨을 구하고자 했다면 수풀 사이에 숨어 잠시 피가 그치길 기다리다 정신을 차리고 살아 돌아왔을 것입니다. 그런데 그러지 않았으니 집안에서는 충노이고 국가에서는 충신 아니겠습니까.”

1702년 서원 소유의 노비에게 논밭을 지급해 생계를 마련해준 문서 ‘용산서원 당중완의(堂中完議)’도 있다. “노비들이 모두 한 뼘의 땅이 없어 살아갈 방도가 어렵다. 만약 돌보아 구휼할 길이 없다면 장차 흩어질 우려가 있기에 논밭을 주어 소작하게 하여 노비를 보존하게 할 일이다.”

○ 노사갈등→타협→노사화합으로 발전



 
http://imgnews.naver.net/image/020/2013/03/07/53516806.1_59_20130307084005.jpg

이런 최씨 가문의 노블레스 오블리주의 전통은 어떻게 시작됐을까. 조선 중기에 노비·소작인과 지주 사이의 갈등, 즉 ‘노사갈등’을 겪은 뒤 타협책으로 화합의 길을 마련한 것이 그 시작이었다.

이번에 발굴된 ‘최국선외(外) 서실입안(0失立案)’(1665년)에는 노사갈등 상황이 드러난다. 최진립의 셋째아들 최동량이 죽은 뒤 상중에 명화적(明火賊·밤에 횃불을 들고 약탈하는 도적) 100여 명이 쳐들어와 물건과 재산증명서 등을 훔치고 아들 최국선 형제 2명을 칼로 찌른 사건이었다. 최국선은 당시 상황과 빼앗긴 물건 목록을 적어 경주부윤의 공증을 받았다.

안승준 한중연 책임연구원은 “최씨 가문은 수많은 시행착오를 거쳐 타협한 끝에 상생의 길을 마련했고 그 산물로 노블레스 오블리주가 탄생했다”고 설명했다.

:: 경주 최씨 정무공 최진립 종가 ::

신라 학자 최치원이 시조인 경주 최씨 가문 중 조선 중기 무신이던 정무공 최진립(1568∼1636)을 중시조로 하는 종가. 경주 최부잣집의 큰집이다. 최부잣집은 최진립의 셋째아들 최동량의 장남 최국선이 부를 축적하면서 얻은 이름이다.

신성미 기자 savoring@donga.com

 
  •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