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메인이미지
top버튼

자유게시판

Home > 커뮤니티 > 자유게시판
VIEW

“식어가는 한류 되살리자” 日 36개 기업 흥행몰이 나섰다

작성자
박두규
작성일
2013.07.03
조회수
4,803
첨부파일
-

“식어가는 한류 되살리자” 日 36개 기업 흥행몰이 나섰다

동아일보 신문에 게재되었으며 A8면의 TOP기사입니다.A8면 신문에 게재되었으며 A8면의 TOP기사입니다.| 기사입력 2013-07-03 03:09 기사원문
 

■ ‘겨울연가’로 시작된 한국 열풍 10년 현주소

[동아일보]

일본 미야기(宮城) 현 센다이(仙臺) 시 외곽에 사는 센시 마사코(扇子正子·80·여) 씨. 그는 15년 전 남편이 세상을 떠나자 삶의 의욕을 잃었다. 집 밖을 나가지 않고 기력도 눈에 띄게 떨어졌다. 그런 센시 씨에게 2003년 4월 ‘제2의 인생’을 위한 전기가 찾아왔다. NHK방송에서 한국 드라마 겨울연가(冬のソナタ)를 보면서 새로운 활력을 찾았다. 딸 센시 미카(扇子美佳·53) 씨는 동아일보와의 인터뷰에서 “고관절염으로 고생했으나 박용하 콘서트에 가기 위해 스스로 방을 나왔다. 박용하와 악수한 엄마는 어린애처럼 좋아했다”고 말했다.

올해 들어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가 침략의 과거사를 부정하고 제2차 세계대전 A급 전범이 합사된 야스쿠니(靖國)신사 참배를 두둔하면서 한일 관계가 급속히 냉각됐다. 하지만 센시 씨는 항상 일주일에 두 번 차를 타고 센다이 시내에서 한국말을 배운다. 한국 가수의 공연이 있으면 도쿄(東京)까지 달려온다. 지난해 여름부터 한일 관계는 급속도로 냉각됐고 양국 갈등은 갈수록 심연으로 빠져들고 있지만 그에게 이런 한일 간 외교 갈등은 아무런 의미가 없었다.

겨울연가가 일본에서 한류(韓流) 붐을 일으키기 시작한 지 10년이 됐다. 그동안 일본 내 한류는 어떻게 변했을까. 일본을 강타한 겨울연가는 한국에 대한 인상을 바꿔 놨다. 2004년 12월 일본 내각부가 전국 성인 3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 ‘한국에 친밀감을 느낀다’고 한 사람은 56.7%로 1978년 조사를 시작한 이래 가장 높았다.

드라마에서부터 불기 시작한 한류 바람은 가요와 게임, 음식 등으로 퍼져갔다. 2005년 4월 탤런트 겸 가수 류시원이 일본에서 발매한 싱글 ‘사쿠라(櫻)’가 발매 당일 음악차트인 오리콘 데일리 싱글차트 1위에 올랐다. 이후 소녀시대, 카라 등 한국 가수들이 대거 일본 시장에 진출하며 케이팝 붐을 이끌었다. 2005년 2227만 달러(약 250억 원)였던 대일 가요 수출액은 2011년 2억401만 달러로 수직 상승했다.

탄탄대로만 있었던 것은 아니다. 한류가 무섭게 기세를 올리던 2005년 7월 ‘만화 혐한류(嫌韓流)’가 나왔다. 한류 붐에 역으로 편승해 자극적인 표현으로 한국을 비판했다. 발매 1년 만에 67만 부가 팔려 베스트셀러로 올라섰다.

사마네(島根) 현의 ‘다케시마(竹島·독도의 일본식 명칭)의 날’ 제정(2005년 2월),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郞) 전 총리의 야스쿠니신사 참배(2006년 8월) 등으로 한일 관계가 급랭했을 때마다 우익들은 한국 때리기에 목소리를 높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 드라마, 음반, 게임 등 문화콘텐츠 수출액은 꾸준히 늘었다. 김영덕 한국콘텐츠진흥원 일본사무소장은 “정치나 외교의 영향에 흔들리지 않을 정도로 일본에 한류문화가 뿌리내렸다”고 해석했다.

하지만 지난해 8월 이명박 전 대통령이 독도를 방문한 이후 기류 변화도 감지된다. 극우 인사들이 드러내놓고 ‘혐한’을 외치고 있다. 도쿄시내 신오쿠보 한인타운에서는 올해만 11차례 반한 시위가 열렸다. “한국인을 모두 죽여라” “한국 여성을 강간하라” 등 구호도 살벌하다. 보수 성향의 아베 정권이 들어서면서 일반인의 우경화 현상도 뚜렷하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과거처럼 맘 편히 한류를 즐기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주부인 다케우치 사쿠라(竹內櫻·43) 씨는 “과거에는 한국 드라마를 봐도 남편이 아무 말도 안 했는데 요즘은 신경질적으로 반응해 눈치가 보인다”고 불평했다. 미야자키 유코(宮崎由子·55·여) 씨는 “아주 친한 친구 아니면 한류 이야기는 피한다”고 말했다.

한국 제품의 판매도 주춤하다. 일본에 진출한 한국 식품업체들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이 10∼30% 줄었다. 김진영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도쿄지사장은 “일본 소매상들이 한국 상품 판촉전도 마음대로 못 한다”며 “판촉전을 하면 우익이 전화 테러를 하기 때문에 대형 소매점들이 한국 상품을 꺼내 놓을 수가 없다”고 설명했다.

이런 상황 속에서 한류 재비상(再飛上)을 위한 시도도 눈에 띈다. 한국관광공사는 ‘한일 프렌드십 페스티벌 2013’을 6, 7일 도쿄돔시티에서 연다. 한류스타를 초청하고 한식, 패션, 한글교육 등 홍보부스를 만들어 한국 체험 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다. 같은 기간에 신오쿠보에서는 주일 한국대사관 주도로 ‘한국 식품명인 제품 홍보전시회’를 열고 일본인에게 한국 식품을 시식하게 해준다.

강중석 한국관광공사 도쿄지사장은 “한류 바람을 다시 일으키기 위해 다양한 문화행사에 온 힘을 쏟고 있다”고 말했다.

도쿄=박형준·배극인 특파원 lovesong@donga.com
 

 

“한국영화 - 드라마 여전히 매력적… 확실한 장르로 정착시켜야”

동아일보신문에 게재되었으며 A8면의 3단기사입니다.A8면3단| 기사입력 2013-07-03 03:09 기사원문
한류 10주년 실행委 요코타 위원장

[동아일보]

일본 내 한류(韓流) 부활을 위해 방송, 출판, 콘텐츠 배급 등 한류 관련 비즈니스를 해온 일본 기업 30여 곳이 ‘한류 10주년 실행위원회’를 결성했다. 실행위원회는 홈페이지(hanryu10.jp)를 만들어 일본에서 방영된 역대 최고의 한국 드라마를 뽑는 ‘한국 드라마 대상’ 투표를 지난달 22일부터 실시하고 있다. 가을에 투표 결과를 발표하는 대규모 시상 행사도 기획 중이다. 실행위원회에 합류하는 기업도 속속 늘어 2일 현재 36곳이 참가하고 있다. 평소 경쟁 관계이던 한류 관련 일본 기업들이 뭉친 것은 그만큼 위기감이 절박하다는 방증이다.

최근 도쿄의 사무실에서 만난 요코타 히로시(橫田博) 한류 10주년 실행위원장(사진)은 “‘사랑비’ 등 신작 드라마를 내놓아도 매출 회복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고 최근 상황을 전했다. 요코타 위원장은 한류 콘텐츠 전문배급사인 SPO의 마케팅본부장으로 최근 10년간 한류 드라마를 매달 1편 이상씩 사들여 지금까지 150편 이상을 방송국과 비디오 대여점에 배급했다. 한류 영화도 100편 이상 사들였다.

―한류 10주년 실행위원회 결성 배경은….

“한류 비즈니스를 해온 최근 10년간 산이 있을 때도, 계곡이 있을 때도 있었다. 하지만 지난해 여름 이후 최근까지는 전례를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매출이 급감하고 있다. 양국 간 정치적 갈등도 있지만 10년쯤 지나니 팬들이 싫증을 내는 측면도 있다. 신선미가 떨어진 것이다. 이는 어떤 한 회사가 대응할 차원의 문제가 아니다. 한류 비즈니스 관련 회사들이 모두 힘을 합쳐 부흥에 나서지 않으면 시장이 줄어들 것이라는 위기감이 확산됐다. 공동 대응 필요성을 제기하자 많은 회사가 호응해 왔다. 한류 비즈니스를 활성화해 한일 우호의 디딤돌로 삼고 싶다.”

―한류 영화와 드라마의 경쟁력은 무엇인가.

“한류 영화는 규모 면에서 할리우드 영화에 버금간다. 출연 배우들도 힘이 있다. 한류 드라마는 일본 드라마에 비해 각본이 좋다. 다음 편을 보지 않으면 잠을 잘 수 없는 중독성이 있다. 극 전개의 우수성은 세계 1위일 것이다. 배우들의 경쟁력도 높다. 연기도 잘하고 예의도 바르고 인간적으로 매력이 많다. 연기에 임하는 자세도 전문가답다. 전체적으로 수준이 매우 높다. 특히 여성 팬에게 인기가 많을 수밖에 없다.”

―10년 후 한류 전망은….

“희망을 섞어 이야기하자면 지금까지의 10년과 달리 확실한 장르로 자리를 잡아야 한다. 시장은 한정돼 있지만 충성도가 높은 팬이 있는 애니메이션 장르가 모델이 될 수 있다. 요즘 한류 팬이라고 하면 곱지 않은 눈으로 쳐다보는 시각이 있는데 그런 분위기를 바꿔 나가며 팬과 함께 한류 비즈니스를 해나갈 것이다. TV 드라마는 영화와 달리 일상생활을 그린 작품이 많다. 이를 통해 한국인의 보통 생활이나 정서가 일본인과 같다는 점을 알게 된다. 같이 웃고 울면서 자연히 한국인을 좋아하게 된다. 나는 드라마를 통해 한일 간의 정치적 갈등도 완화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서민은 어느 쪽이든 사는 게 비슷하다. TV 드라마를 통해 우리는 가깝고도 가까운 나라가 될 수 있다.”

도쿄=배극인 특파원 bae2150@donga.com
 
  •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