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메인이미지
top버튼

일반교양

Home > 교양교육과정 > 일반교양

■ 교양필수 교과목 개요

Sol 인성 교육(2-2-0)
Sol education Education

본 교과목은 대학생들에게 자신의 내면을 바르고 건전하게 가꾸고 타인, 공동체와 더불어 살아가는 데 필요한 인간다운 성품과 역량을 기르게 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예비졸업생에게는 성공적 사회생활을 준비하는데 요구되는 생활중심 인성교육의 핵심가치와 덕목(예(禮), 효(孝), 정직, 책임, 존중, 배려, 소통, 협동 등)에 대한 다양한 현장사례 공유로 인성교육의 중요성을 이해하게 한다.

자아탐색과생애설계(2-2-0)
self-reflection and life planning

이 강좌는 자아를 탐색하는 것과 자아실현을 위한 생애설계를 목적으로 한다. 자아 탐색과 생애 설계는 현재와 미래의 세상에서 자신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꼭 필요한 과정이다. 이 과정은 인간의 최고 목표인 행복과도 연관이 있으며, 본 과목에서는 이를 위하여 유년기와 청소년기의 삶을 돌아보면서 진정한 자아를 찾고, 아울러 자신의 가치를 실현하기 위한 생애 설계와 자신에게 맞는 최선의 선택을 위한 방법론을 모색한다.

4차산업혁명과 빅데이터(2-2-0)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Big data

빅데이터의 개념을 이해하고 핵심 원리와 기법을 학습하여 각 분야에서 요구되는 자료수집, 처리, 분석 등 4차 산업 시대에 필요한 데이터 활용 역량을 기른다.

4차산업혁명과 사물인터넷(2-2-0)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IoT

사물인터넷의 기본 개념과 유비쿼터스 기술 학습, IT융합기술이 적용된 사물인터넷 사례를 통한 미래사회 변화 환경에 대처한다.

■ 교양선택 교과목 개요

인간심리와치유(2-2-0)
Human psychology and healing

행복과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신체의 건강뿐 아니라 마음의 건강이 점차 중요해지고 있다. 특히, 사회로 나아갈 준비를 하는 대학생들에게 경제적, 사회적 조건보다 삶의 굴곡과 부침에 흔들리지 않고 자신의 신체적, 심리적 건강을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주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역사속 인물의 리더쉽(2-2-0)
Leadership of a historical figure

동·서양을 아울러 당면한 시대의 변화를 이끌어내고 또 역사속 인물들의 꿈과 이상, 그리고 성공과 좌절을 살펴본다. 이후 그들이 살아 숨 쉬었던 실제 삶 속에서의 생생했던 역사를 공유하고 그래서 불가피했던 갈등이 빚어준 가치를 되새겨 볼 것이다. 그리고 그러한 총체적인 ‘리더십’을 다시금 현재로 끌어들여 ‘나’ 자신에게 적용하고 미래를 설계해본다.

위대한 인물과 나(2-2-0)
Creating minds and I

이 과목은 위대한 인물의 전생애 발달에 대한 이해를 통해 자신의 비범함을 발견하고, 발전시키는 단서를 얻는 심리학,인문학,교육학의 융합 과목이다. 학생들 개개인이 자신의 잠재능력을 발견하고 스스로 개발해나갈 수 있는 심리적 힘을 형성하는 것이다.

경영윤리(2-2-0)
Management ethics

책임감과 도덕적 신념을 기반으로 정직하고 신뢰할 수 있는 직업윤리와 가치관을 가진 조직구성원으로서의 자질을 배양하고, 기업에 대한 윤리적 평판이 생존을 좌우하는 환경의 변화에 대응한 경영현장의 사례 공유를 통하여 윤리경영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다.

윤리적 삶에 대한 성찰(2-2-0)
Introspection of Ethical Life

좋은 삶” 또는 “도덕적 선”에 대한 추구는 여러 상이한 지역과 시대를 막론하고 인간 삶의 보편적 과제이자 목적이다. ‘어떻게 사는 것이 좋은 삶인가?’ 그리고 ‘어떤 행위가 보다 가치 있고 선한가?’를 고민하는 것은 모두 윤리적인 삶에 대한 성찰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 과목의 표는 윤리학의 여러 이론들을 살펴봄으로써 “좋은 삶”과 “도덕적인 삶”을 살아갈 수 있는 통찰과 판단력을 함양하는 데 있다.

소프트파워와창조(2-2-0)
Creative Soft-Power

제 4차 산업혁명시대에 있어서 핵심 역량인 소프트파워 능력을 배양하기 위해 프로그래밍 논리, 컴퓨팅 사고력 등을 교육하고 MIT 미디어랩에서 개발한 프로그래밍 교육용 언어인 스크래치를 통해 인터랙티브 스토리, 게임, 디지털 아트 등 창의적인 소프트웨어 기획과 개발을 경험한다.

창의적문제해결(2-2-0)

어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창의적 해결법을 만들어내는 정신적 과정 역량을 고양하기 위해 창의성의 성질과 접근이해, 창의적인 사람은 어떤 사람인가?에 대한 고찰, 창의력의 생리, 창의성 기술, 재설정, 무작위 단어 선택등의 창의적 문제해결 기법을 적용하게 된다.
가의 시스템과 실습을 병행하게 된다.

생활과통계(2-2-0)
Living and statistics

생활에 필요한 기초통계 지식을 습득하고 수집된 자료를 분석,처리 및 해석하는 능력을 배운다. 생활속에서 접하게 되며 알아두면 도움이 되는 통계의 기초개념들을 다양한 실제 활용사례를 통해 재미있게 전달하여 학생들에게 통계학습에 대한 동기부여를 제고한다.

생활 속 디지털 기술(2-2-0)
Life of digital technology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은 본래 음성을 전달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작되었다. 아날로그 기술이 전기의 강도에 따라 음의 변화를 전기 신호로 변경시켜 연속적인 파형으로 송신하는 것과 달리 디지털은 시간을 분할하여 각 구간에서 정보를 0과 1로써 다룬다. 디지털 기술은 아날로그와 달리 정확한 값을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정확하고 선명한 이미지와 소리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본 과목은 이러한 디지컬 기술의 기원과 특징을 자세히 알아보고 디지털 기술의 미래를 전망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진으로 보는 건축의 이해(2-2-0)
Interpretation of architecture from pictures

건축 디자인 제반 요소 기술을 사진자료를 통해 이해시키며 직접 주변 생활에서 접하는 건축물의 디자인을 평가하고 기술 능력을 키운다.

영화의 이해(2-2-0)
Understanding of Cinema

21세기는 영화의 시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 모든 예술적 양태의 종합으로서의 영화를 이해하는 것은 전인적 예술 교육의 하나다. 영화에 대한 정보와 지식을 많이 아는 것보다 영화를 보고 자기 나름의 느낌을 갖는 것이 이 과목의 일차적인 목표다. 재미있다면 왜 재미있는지를 설명하고 재미없다면 왜 재미없는지를 설득하는 것이 비평의 기본이다. 그리고 이러한 비평 능력은 궁극으로 세상을 읽고 자신을 읽는 사고력과 통찰력에 지대한 영향을 준다. 따라서 이 과목에서는 우선 영상언어의 기초 개념과 영화의 핵심 이론을 익히고 작품의 표면과 이면을 착실하게 읽어냄으로써 영화 텍스트를 단계적으로 해석해본다. 나아가 확장, 독창적 이해를 겸하여 인식의 지평을 넓힘으로써 주체적인 안목을 기른다. 활자와 영상을 넘나드는 양질의 자료들을 토대로 자아와 세계를 다양한 인문학적 이론과 관점을 동원해 탐색하는데 그 과정에서 영화의 역사, 영화의 세부 장르, 한국 작가주의 감독들의 작품세계 등 필요한 정보와 지식들을 습득할 수 있다. 궁극으로는 능동적이고 즐거운 문화생활을 향유할 줄 아는 개인의 취향과 성인의 교양 형성에 이바지한다.

예술의이해(2-2-0)
Understanding of Art

대학생들이 가져야할 예술의 교양과 상식을 예술의 이해를 통해 좀더 가깝고 친숙하게 느껴질 수 있게 한다.

현대사회와 글로벌시각(2-2-0)
Interdependent World and Global Perspective

국가 간의 협력 없이는 살아갈 수 없는 세계화(지구촌) 시대에 세계시민으로서 국제사회 전반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국제적 소양을 함양하기 위한 강좌로, 우리의 삶과 우리 인류사회가 안고 있는 다양한 문제들의 상호의존성을 인식하고, 세계와 우리사회가 직면한 다양한 세계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봄으로써 인류공동체에 대한 책임 의식을 가지고 능동적으로 행동할 수 있는 세계시민으로서의 소양을 기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다양한 세계관을 인정하는 글로벌 시각, 세계의 여러 나라를 연결시키는 세계체제에 대한 이해, 문화간 이해 그리고 세계 여러 나라가 공통으로 겪는 세계문제와 이슈 등을 검토한다.

글로벌사회문제의 이해(2-2-0)
Understanding of global social problem

사회 구성의 기본 단위로서의 글로벌사회는 현대에 들어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다. 서구에서는 결혼 제도를 둘러싸고 동거 가족, 동성애 가족 등을 법적으로 인정하자는 논의가 활발하는 등 새로운 형태의 가족에 대한 제도적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이러한 정확한 사회문제들에 대한 인식을 통해 해결방안에 대한 적극적 태도를 통해 개인 문제뿐만아니라 사회문제에 관심을 두어 해결하고 삶의질 향상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문화의이해(2-2-0)
Understanding The Korean Culture

국제화와 정보화로 요약되는 미래사회의 문화적인 변화의 틀을 이해하고 한국사회가 안고 있는 제반 문제들을 문화의 관점에서 파악함으로써 그 해결의 방안을 문화적인 시각에서 구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과학기술발달과 무기 변천사(2-2-0)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historical weapons

과학기술발달과 연계한 무기변선사는 사회구조와 구성원간의 상호관계를 학문적 진리탐구인류가 전쟁을 시작한 고대시대 이래 현대까지 각종 무기들의 기능과 역할을 확인 및 분석할 수 있도록 한다.

국가안보이론과 실제(2-2-0)
Governmental management in the perspective of “Sonja’s Art of War

우리는 국가라는 울타리를 떠나서 그 무엇도 할 수 없다. 국가의 여러 가지 요소 중에 안보라는 요소는 국가경영에 대단히 필수적 요소가 되었다. 따라서 우리에게 익숙한 손자병법을 통해 국가와 전쟁 그리고 국가전략에 대해 알아보고 대한민국이 처해 있는 다양한 안보 이슈에 대한 토의를 통해 글로벌인재로서의 교양을 배양하고자 한다.

북한바로알기(2-2-0)
Know about North Korea

북한의 정치,경제,사회,문화에 대한 구조인식과 학문적 진리탐구를 지향하며 북한식 통치이념과 대외정책의 실상을 통해서 바랍직한 대북관을 확립 할 수 있도록 한다.

손자병법으로 보는 국가 경영(2-2-0)
National management as seen by the Art of War

손자병법의 핵심내용을 이해한 다음, 이를 임진왜란, 6·25전쟁, 제3차 중동전쟁, 중국 국공내전 및 우리나라의 현 안보정세와 연계시켜 분석해 봄으로써, 학생들이 글로벌 인재 및 장차 통일 주체세대로서 자립,단정,독행의 인생을 향상하고, 국가관 및 안보관을 확립하는데 기여하도록 한다.

인류역사와전쟁(2-2-0)
Human history and war

인류역사를 바꾼 주요전쟁을 중심으로 전쟁발생의 원인,경과, 인류에게 미친 영향에 대해 연구 및 토의하므로써 우송대학교 학생들이 폭넓은 교양을 갖춘 글로벌 인재로서 역량을 발휘 할 수 있도록 한다.